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지역경제 농업종합 정치 행정 지방의회 종합 도정 도의희 도교육청 경북연합 사건사고 소방소식 복지 행사 인물 카메라고발 종합 동영상뉴스 학교소식 사회/문화 여성/환경 사회교육 종합 향우회소식 사회단체 장애인 행사 종합 레져 생활체육 학생체육 행사 종합 여성 환경 행사 종합 데스크칼럼 기자수첩 독자투고 기고 기타 종합 출향인인터뷰 출향인소식 이사람 영덕인 인터뷰 이달의 인물
최종편집:2025-07-03 14:08:10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뉴스 > 기고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아동학대,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2020년 10월 13일(화) 12:51 [i주간영덕]
 

ⓒ i주간영덕
지난 5월 경남 창녕에서 계부 A씨(35세)와 친모 B씨(27세)가 딸(9세)을 집에서 상습적으로 폭행과 학대를 하여 아이가 견디다 못해 몰래 4층 높이의 집 테라스에서 옆집으로 건너가며 탈출한 사건이 있다. 이후, 피골이 상접한 모습으로 걸어가고 있는 아이를 보고 의심이 간 인근 주민이 아이를 자동차에 태웠고 편의점까지 함께 동행하여 경찰에 인계되어 도움을 주었다, 이처럼, 아동학대는 이웃의 관심을 통해 신고되는 경우가 있다.

아프리카 속담에는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한 아이가 온전하게 성장하도록 돌보고 가르치는 일은 한 가정만의 책임이 아니며, 이웃을 비롯한 지역사회 또한 관심과 애정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말이다. 과거에는 이웃끼리 품앗이나 두레를 통해 서로의 일을 도우면서 자연스레 이웃의 정을 느낄 수 있었던 것과 달리 현대사회는 이웃끼리의 교류도 극히 드물어 이웃의 적극적인 신고가 어려워지고 있다.

2019년 보건복지부의 ‘아동학대 사망사고 발생현황지표’에 따르면 최근 2014~2018년까지 5년간 아동학대로 숨진 아동이 132명이나 되고 2018년 학대받은 아동 수는 2만 18명이었다. 이 중 77%가 부모에 의한 학대로서 가장 많았다. 부모가 등을 돌리면 아이들은 세상으로부터 완전히 고립될 수 밖에 없다.

어린 시절 신체적 · 정신적 학대를 받은 아이는 성인이 된 후 자폐증을 가진 자녀를 낳을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또한, 학대 당하며 성인이 된 경우 다시 아동학대의 가해자가 되는 악순환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아동학대는 단순히 아동에게 고통을 주는 것을 넘어, 아동의 인생 전체를 망치기에 사회가 나서야한다.

누구든지 아동학대 의심되는 상황을 알게 된 경우나 보게 된다면 시·도, 시·군·구 또는 수사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특히, 교사 직군, 의료인 직군 등 직무상 아동학대를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신고 의무자는 신고하지 않을시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이다. 아동 스스로 학대환경을 신고하기 어려우므로 제3자의 신고가 정말 중요하다.

이 글을 읽는 당신 또한 누군가에게 꼭 그러한 존재가 되어 주길 바란다.
우리 아이들의 생명은 모두 소중하고 사랑받아야 마땅한 존재이다.
가정뿐만이 아닌 사회 곳곳에서 아이들을 위해 조금 더 관심과 애정을 준다면 아동학대가 근절되는 아름다운 사회가 찾아올 것이라고 믿는다.
주간영덕 기자  
“언론사 & 단체 명훈”
- Copyrights ⓒi주간영덕.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i주간영덕 기사목록  |  기사제공 : i주간영덕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지품면 지사협, 실버복지관과 업무협..
영덕署, 영덕중 범죄예방교육 실시..
영덕군 지사협, 취약계층에 ‘시원한..
영덕의 핫플은 어디? 여기! ..
경북·전북 정보화마을, 영덕서 교류..
영덕군, 산불 이재민 의료급여 지원..
영덕군, 6·25전쟁 제75주년 기..
영덕군, AI·IoT 어르신 건강관..
대승불교 일불회 해진스님 주석사찰 ..
영덕군가족센터, ‘과학적 호기심’ ..

최신뉴스

‘더 안전하고 깨끗하게’ 영덕군..  
풍경..  
김광열 영덕군수, 산불 대응 관..  
무릉산 바람..  
경북녹색환경연합, ‘사랑의 밥 ..  
STAY영덕 베이스볼 캠프, 대..  
영덕교육지원청, 학생 생성 교육..  
영덕문화원 2025년 경북 선..  
영덕군, 청춘 만남 ‘장르만 트..  
영덕교육지원청, 지방공무원 임용..  
담배연기는 싫어요! 싫어요!..  
영덕소방서, 경북산불 재난대응 ..  
산불 100일 ‘다시 일어서는 ..  
소규모학교 학생들 바리스타 2급..  
박형수 의원, “TK신공항 정부..  


인사말 - 광고문의 - 제휴문의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기사제보 - 구독신청
 상호: i주간영덕 / 사업자등록번호: 173-28-01219 / 주소: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강영로 505 / 발행인.편집인: 김관태
mail: wy7114@hanmail.net / Tel: 054-732-7114, 054-734-6111~2 / Fax : 054-734-6113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아00130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관태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함